요즘트렌드

도심 교통체증 뻥 뚫어줄 플라잉카, 이제 뜬다

 

 

수도권 시민들에게 출퇴근길은 험난한 지옥이다. 이런 교통체증을 해결해줄 플라잉카가 
2025년부터 실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영화 <백 투더 퓨처>와 <제5원소> 등 SF영화에서나 볼 수 있던 하늘을 나는 차가 실제로 우리 눈앞에 곧 나타난다. 이미 전기 자전거나 전동 킥보드 등이 상용화된 가운데 앞으로 상용화될 플라잉카는 어떤 모습일까?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우선 플라잉카는 어떤 이동수단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플라잉카는 도로 주행과 공중 비행이 모두 가능한 자동차를 말한다. 넓은 개념으로는 자동차와 비행기의 기능이 결합된 차세대 운송 수단을 뜻한다. 도로 주행 비행기(roadable aircraft)와 실제로 날 수는 없으나 추진력을 이용해 지면으로부터 약간 떠서 주행하는 자동차인 호버 카(hover car)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한편 플라잉카의 상용화는 이미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2040년까지 도심용 항공 모빌리티 시장 규모가 1조 5,000억 달러(약 1,8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보잉, 에어버스, 아우디, 도요타 등 세계 150여 기업이 300종의 플라잉카를 개발 중이다.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인 우버는 2020년 호주 멜버른에서 플라잉카를 이용한 항공택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해 2023년 상용화에 나서기로 했다.

 

미국 항공우주기업 보잉은 올해 초 길이 9m, 폭 8.5m의 플라잉카를 수직 이륙해 1분간 비행 후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 보잉은 올해 안에 200㎏ 이상의 사람과 짐을 싣고 비행할 수 있도록 개량해 
내년부터 상용 판매를 시작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유럽연합의 에어버스는 작년 초 한 번에 80㎞를 비행할 수 있는 플라잉카 ‘바하나’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2024년 파리올림픽에서 상용화할 계획이다. 도요타는 2017년 플라잉카 스타트업 ‘카티베이터’에 투자했다. 2020년 도쿄올림픽 전까지 플라잉카를 상용화해 올림픽 성화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우리나라도 이런 흐름에 발 맞춰 나가고 있다. 먼저 현대자동차그룹은 미 항공우주국(NASA) 출신 신재원 박사를 영입해 혁신적인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는 기업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도심 항공 모빌리티 시장 조기 진입을 위한 전체적인 로드맵을 설정하고, 항공기체 개발을 위한 형상설계와 비행제어 소프트웨어, 안전기술 등의 핵심기술 개발 및 확보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도 미국 PAV 기업과 손을 잡고 개발에 뛰어들었다.

 

지난 7월, 한화는 미국 K4에어로노틱스에 295억 원을 투자하고 지분을 확보한 데 이어 개발에 참여했다. 한화시스템은 PAV 사업을 통해 새로운 분야의 사업 기회를 확보할 계획이다.


여러 규제로 막혀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보다 플라잉카 시대가 먼저 올 것 같다. 그러나 친환경을 위한 과제는 남아 있다. 비행 거리 35㎞까지는 기존 차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고 혼자 타면 전기차보다 환경 효과가 떨어진다는 연구도 있다. 또한 하늘 길을 정하고 안전 기준도 새로 만들어야 한다. 이에 정부는 우선 내년 5월에 드론 교통체계 청사진을 내놓고, 2023년까지는 비행체 인증 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보잉사의 후원으로 플라잉카를 선발하는 고플라이 대회가 개최됐다. 2단계에서 최고의 평가를 받은 플라잉카 후보들은 오토바이, 호버보드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응용했다. 다섯 팀중 세 팀은 미국팀, 나머지 두 팀은 러시아-라트비아 합동팀과 네덜란드팀이다.

배너

발행인의 글


충북, 사과 가격 안정화 3고

'애플플레이션' 이란 조어가 등장할 만큼, 이상기후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지난해 가을부터 반년째 사과 값이 상승 중이다. 충청북도 농업기술원은 8일 사과 가격과 품질 안정화를 위해 재배 면적은 늘리고, 생산성은 높이며, 위험 요인으로부터 지키는 이른바 3고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충북의 사과 재배 면적이 최근 10년간 3.5% 감소해 작년 기준 3,738㏊다. 특히 지난해 사과 개화기 저온 현상과 병해충이 발생해 국내 총생산량이 평년 대비 35% 줄어든 38만 톤에 그쳤고, 충북 역시 평년 대비 30%가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작황 부진으로 인해 사과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사과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충청북도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이번 3고 계획을 추진키로 한 것이다. 먼저 사과 재배 면적을 늘리기 위해 과수화상병으로 문 닫은 과원에 사과를 다시 심을 수 있도록 60㏊에 100억 원을 2026년까지 지원한다. 또 최신 트렌드에 발맞춰 중·소형 사과와 같은 신품종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관련 전문 기술 교육을 해마다 1,000명가량 하기로 했다. 재배면적도 2026년까지 25㏊를 지원한다. 그 다음으로 이상 기후변화에 강한 내재해

[미국 하와이주] 산불피해 복구・환경 보전에 사용, 관광세 25달러 부과 추진

하와이주는 관광세를 걷어 지난해 산불로 100명 이상이 죽고 160억 달러(21조 2,656억 원) 상당 재산 피해를 입은 마우이섬 복구와 하와이 전역의 환경 피해 복원 및 보전 비용으로 충단할 예정이다. 하와이 의회에 상정된 법안 HB2406은 ‘기후건강 및 환경행동특별기금’을 주정부에 설치하고 단기체류자에 부과하는 25달러의 세금을 재원으로 충당하도록 했다. 관광세는 의료시설, 학교, 기부받은 숙박시설, 마우이 화재 이재민 임시 숙소 체류자에게는 부과하지 않는다. 연간 6,800만 달러(904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관광세 수입은 산불과 홍수 예방, 산호초 복원, 녹색 인프라 건설, 토지 관리 및 구급품 조달 비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조시 그린 하와이 주지사는 2022년에 1인당 50달러(6만 6,000원)의 관광세를 부과하려고 했으나 의회에서 부결된 바 있다. 그린 주지사는 “하와이 연간 방문자가 900만 명에서 1,000만 명인데 주민 수는 140만 명이다. 1,000만 명의 여행자는 우리가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도와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주 하원관광위원장인 션 퀸란 의원은 여행 패턴이 바뀐 것이 관광세 도입을 추진한 한 요인이라고 말했다.